본문 바로가기
서버세션/Server

도메인 구입 후 서버에 도메인 설정하기

by 김긍수 2021. 4. 20.

외우기 어려운 IP주소를 기억하기 쉽게 도메인을 이용해보자!

 

 

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가비아]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입할 수 있다. 나는 공부용이므로 가장 저렴한 .shop 도메인을 구매하였다.

 

0. MY 가비아 - DNS 관리 툴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확인한다.

1. 도메인 우측 [설정] 버튼을 누른다.

 

2. DNS 설정 [레코드 수정]을 클릭한다.

 

3. DNS 레코드에 추가 해준다.

- 레코드 타입 별 설명 :  customer.gabia.com/manual/dns/3041/3040

 

A 레코드 : DNS의 레코드 중 하나로 웹 서버의 IPv4 주소를 매칭할 때 사용한다.

값/위치에는 AWS 공인 IP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호스트:www는 도메인 앞 www를 붙인 주소에 접속했을 경우이고 @는 도메인만 입력해서 접속했을 경우이다.

 

4. 도메인으로 접속하기

 


DNS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 호스트의 도메인네임(www.hisilver.shop)을 네트워크 주소 (xxx.xxx.xxx.xxx)로 변환하거나 네트워크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DNS 내부 동작 원리

DNS 서버는 IP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기억하는 기능과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요청하면 IP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1. 브라우저에 "www.hellosilver.com"을 입력한다.
  2. 로컬 DNS 서버에 해당 url이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한 후, 있다면 IP주소를 준다.
  3. 로컬 DNS 서버에 해당 url이 없다면 루트 DNS 서버에게 요청한다. 루트 DNS 서버는 최상위 도메인(.com)을 확인한 후 ".com"이 등록된 네임 서버의 IP 주소를 전달한다. 즉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서버에 요청하라는 뜻으로 .com DNS 서버의 IP주소를 알려준 것이다.
  4. 로컬 DNScom DNS 서버에게 "www.hellosilver.com"을 요청한다. com DNS 서버는 해당 url이 없으므로 "hellosilver.com"을 관리하는 DNS서버에게 요청하도록 hellosilver.com DNS 서버의 IP 주소를 전달한다.
  5. 로컬 DNShellosilver.com DNS 서버에게 "www.hellosilver.com"의 IP주소를 요청한다.
  6. hellosilver.com DNS 서버는 "www.hellosilver.com"의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로컬 DNS에게 해당 주소의 IP주소를 응답해준다.
  7. 이를 수신한 로컬 DNS는 "www.hellosilver.com"의 주소를 캐싱하고 다른 요청이 있을 시 응답할 수 있도록 IP 주소 정보를 PC에 전달해준다.

Local DNS 서버가 여러 DNS 서버에 차례대로 요청하며 그 답을 찾는 과정을 Recursive Query 라고 부른다.

 

 

 

 

 

 

참고

yusang.tistory.com/32?category=835611

luminitworld.tistory.com/84?category=975147

댓글